7,696 바이트 추가됨,
2019년 3월 23일 (토) 23:13 여기서는 미디어위키의 일반적인 설정을 기준으로 설명한다. 각 위키위키의 고유한 특성은 아래 문단에 서술한다.
=== 일반적인 사용자 ===
대부분의 위키위키는 로그인을 하지 않고도 편집이 가능하다. 다만 사용자의 기여를 확인하기 위해 IP주소가 출력된다.
;기본적으로 주어지는 권한
: 1. 문서 편집, 새 문서 작성이 가능하다.
: 2. 문서의 토론문서를 만들 수 있다.
=== 로그인한 사용자 ===
위키위키에 계정을 만들면 일부 권한이 더 주어진다.
;추가로 주어지는 권한
: 1. OAuth 기능을 통해 위키와 연동된 사이트에서 자신의 계정을 사용할 수 있다.
: 2. 사용자 문서를 만들거나 편집할 수 있다.
: 3. 많은 경우에 업로드 권한이 로그인 사용자에게만 주어진다.
: 4. IP가 드러나지 않는다. 다만 검사관의 사용자 검사 도구로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.
=== 인증된 사용자 ===
보통 어느 정도 이상의 편집을 하고, 가입한 지 특정 일수가 지나면 자동인증(Autoconfirmed)이 된다. 이외에도 관리자가 자동인증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사용자에게 수동으로 그룹을 만들어 인증 권한을 부여할 수도 있다.
;주어지는 권한
: 1. 스크립트에 의한 자동편집인지 확인하는 Captcha 과정을 무시하고 편집을 할 수 있다.
: 2. 준보호(Semiprotected)된 문서를 편집할 수 있다.
=== 봇 ===
봇은 사용자가 정해진 명령어에 따라 자동적으로 특정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계정이다. 사무관이 등록할 수 있으며, 원활한 편집을 위해 자동인증된 사용자 권한에 보통 다음 권한이 부여된다. 다만 봇 중에서 '''편집 필터'''는 자동으로 사용자를 차단하는 권한이 필요하기에 관리자 권한이 부여되고, 만약 '모든 권한 해제' 옵션을 선택한 편집 필터가 있다면 수동으로 사무관 권한까지 부여해줘야 정상작동한다.
# 봇의 편집으로 처리되어 기본적으로 최근 바뀜에 뜨지 않는다.
# 봇이 편집한 내용은 알림 메시지가 뜨지 않는다.
# 편집할 때 점검 절차가 면제된다.
=== 특수 권한 ===
==== 점검 면제자(Autopatrolled) ====
미디어위키는 새로 문서를 편집할 때 점검되지 않은 편집은 왼쪽에 느낌표 표시가 뜬다. 이것을 통해서 부적절한 편집을 가려낼 수 있다. 이 점검 면제 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이 편집을 점검하면 이상이 없는 편집으로 처리된다. 점검 면제저는 자신의 편집이 항상 점검된 형태로 처리가 가능하고, 다른 사용자의 편집이 이상이 없을 때 점검을 해줄 수도 있다. 관리자가 이 권한을 부여할 수 있으며, 관리자는 LocalSettings.php에서 해제하지 않는 이상 기본적으로 이 권한이 부여된다.
==== 관리자(Administrator) ====
위키를 실질적으로 관리하는 <s>완장질의 정점</s>책임자다. 문서를 삭제하거나 문서의 보호 수준을 올릴 수 있으며, 위키에 해를 끼치는 유저를 차단할 수 있는 등 어마어마한 추가권한이 주어진다.
또 기본적으로 새 사용자 계정 만들기(createaccount) 권한이 있어서 따로 로그아웃하지 않고도 특수:계정만들기 페이지에서 계정을 만들 수 있다.
보통 다음과 같은 권한이 추가된다. 단 일부 권한은 위키 설정에 따라 제거되기도 한다.
; 되돌리기 권한(rollback) 혹은 다른 사람의 편집을 점검함(patrol)
: 관리자는 기본적으로 되돌리기 권한(rollback)을 갖고 있고 자신의 편집을 자동으로 점검(autopatrol)하거나 다른 사람의 편집을 점검(patrol)할 수 있다.
; 문서 삭제와 관련 권한들.
: 미디어위키는 모니위키 등과는 달리 일반 사용자들에게 문서 삭제 권한이 주어지지 않고, 관리자에게만 주어진다. 또한 문서 삭제 권한과 관련이 있는 삭제된 문서 검색이나 특정 판 숨기기 등의 권한도 같이 부여된다.
: 추가적으로 역사가 많은 문서를 삭제(bigdelete)하거나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문서들을 대량으로 삭제(nuke)하는 권한(Nuke 확장기능이 필요하다)도 주어지는 경우가 많다.
; 문서 이동/역사 병합과 관련된 권한들.
: 문서 삭제와 유사하게 일반 사용자는 문서 이동을 할 때 넘겨주기를 남겨주지 않고 이동할 수 없는 경우가 많으나 관리자는 넘겨주기를 남겨주지 않고 문서이동을 할 수 있다.
; 사용자 차단과 관련된 권한
: 부적절하게 위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위키를 이용하지 못하게 차단할 수 있다. 또한 관리자는 자신이 차단당한 상태여도 차단을 스스로 해제할 수 있다.(unblockself)
; 문서 보호하기
: '보호' 탭에서 특정한 문서의 편집 수준을 변경하거나 생성 보호를 할 수 있다. 또한 최고수준으로 보호된 문서(protected)까지도 편집할 수 있다. 다만 일부 위키에서는 기록보호자(Oversight)가 숨긴 문서들에 대해서는 편집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.
; 인터페이스 수정하기
: '미디어위키:' 로 시작하는 미디어위키 네임스페이스 문서들의 수정이 가능해진다. 보통 인터페이스 문서는 최고수준으로 보호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에 관리자 이외에 다른 사람이 최고수준의 문서 편집권한이 있으면 편집이 가능하다.
; 속도 제한 무시
: APIsandbox 같이 API를 이용해서 편집할 때 일반 사용자는 편집 빈도에 제한이 있으나 봇과 관리자는 편집 빈도 제한 없이 편집할 수 있다.
; 문서 가져오기(import)
: 문서 내보내기(export)를 통해 다른 위키의 문서를 XML파일로 저장할 수 있는데, 이 저장된 XML파일을 위키 내부에 업로드하는 것이 가능하다. 다만 이 권한은 피해를 많이 줄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일부 위키는 모든 관리자에게 부여하지 않고 해당권한을 트랜스위키 유저라는 별도의 권한으로 분리하는 경우도 있다.
; 편집 필터(AbuseFilter) 관련
: 편집 필터는 사용자의 특정한 패턴의 편집을 금지하거나, 차단하거나, 태그 메시지를 띄워서 경고 메시지를 보낼 수 있게 설정되어 있는 일종의 봇이다. 편집 필터는 미디어위키의 기본 기능이 아닌 확장기능 중 하나이나 대부분의 미디어위키 기반의 위키에는 설치되어 있다. 대부분의 경우 관리자는 편집 필터를 편집하고, 일부 필터의 경우 비공개 상태로 만들 수 있는 권한까지 가지고 있다. 다만 영어 위키백과 등 일부 위키에서는 모든 관리자가 아닌 편집 필터를 편집할 수 있는 권한을 별도로 분리하는 경우도 있다.
==== 사무관(Bureaucrat) ====
다른 사용자에게 관리자의 권한을 부여하거나 봇의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. 일반적으로 관리자 권한을 겸해서 갖는 경우가 많다.
==== 검사관(Checkuser) ====
로그인한 사용자가 사용한 IP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사용자 검사(Checkuser) 권한을 가진 사용자이다. 개인위키는 위키 소유자가 권한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, 위키 호스팅 사이트의 하위 사이트라면 사무장만이 검사관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. 독립적인 위키 사이트는 감독관이 임명할 수 있다